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가정폭력 상담원 교육: 가정폭력 원인에 대한 이론

☆심리학,사회복지학/- 심리학

by mibbm_soo 2023. 3. 2. 21:19

본문

(1)정신분석이론

  • 가정폭력에 대한 전통적 접근법에 속하는 정신분석이론은 정신 병리적 관점에서 가정폭력 문제를 보고, 행위자의 초기 아동기 경험이 행위자의 병리적 성격을 어떻게 만들어 내는지 설명한다. 이 이론은 가장 오래된 가정폭력이론임에도 과학적인 증거가 불충분하며 비정상적 인격적 특성이 폭력과 관련되어 있는 점에 대하여 적절히 설명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비판을 받고 있다. 

(2) 사회심리론

a. 좌절 공격론

  • 이 이론은 달러(Doller)에 의해 주창되고 밀러(Miller)에 의해 수정된 이론으로 여기서 좌절은 '목적 달성을 방해당하는 것'을 의미하고, 공격은 '타인에게 해로운 자극을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좌절-공격이론은 개인의 어떤 목적을 가진 행동이 좌절되거나 방해 받았을 때 가장 가까이 있는 가족들을 대상으로 공격성이 표출되어 가정폭력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여기서는 개인의 사회적 노력이 끊임없이 좌절되면 분노와 근심으로 공격이 발생한다는 가정아래 공격행위를 설명하고 있고 가정을 구조적, 기능적인 면에서 좌절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며 본질적으로 좌절을 일으키는 곳으로 보고 있다.

b. 사회학습이론

  • 사회학습이론은 '개인의 학습 바탕은 원래 백지상태'라는 가정에서 출발하며, 폭력행위를 하나의 '학습된 현상'으로 이해한다. 즉, 개인은 타인의 폭력행위를 관찰, 모방함으로써 공격행위의 기술을 습득하고 그러한 행위에 대해 양심의 가책이나 죄의식을 느끼지 않게 된다는 것으로 어린 시절 폭력적인 가정에서 자라났을 때 폭력을 배우게 된다는 것이다.

(3) 여성주의이론

  • 여성주의적 관점에서는 가정폭력을 전통적인 가부장적 사회구조에서 남성에 의해 행해지는 여성에 대한 학대로 이해한다. 특히 가족구성원 간의 갈등 및 분쟁과정에서 단순히 물리적 힘을 사용하는 현상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여성을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폭력이 사용되는 현상을 말하며, 근본적으로 남편불평등에서 비롯되고 가족 내에서 '남성 지배, 여성 복종'을 지속시키는 것으로 보는 입장이다.

(4) 교환,사회통제이론

  • 교환과 사회통제이론에서는 인간의 상호작용이 보상을 추구하고 처벌과 비용은 회피하는 방향으로 나가며 다른 사람에게 보상을 주는 개인은 그 사람이 의무를 이행하도록 강요하고 따라서 보상을 받은 사람은 보상을 준 사람에게 이익을 제공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한다. 갈등해결기술이 없을 때 분노가 점증되어 폭력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폭력은 폭력적이 되는데 드는 손실(형사상의 제재 또는 이혼)이 보상(분노의 발산, 권력의 획득과 통제)보다 적을 때 나타난다.

(5) 가족체계이론

  • 가정폭력을 가족 내 상호작용적-체계적 관점에서 보는 가족체계이론가들은 깨지기 쉬운 자아감을 가지고 있는 가정폭력의 가해자와 피해자가 융합함으로써 가정폭력의 체계가 구조와 한다고 본다. 즉 폭력을 사용하는 체계에서 작용하는 규칙들은 역기능적인 패턴들로 폭력체계를 더욱 공고히 한다.
  • 가해 남성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의존 갈등, 친숙함에 대한 두려움, 통제에 대한 욕구를 거의 의식하지 못하며 사회적 조건과 모든 것이 그들을 권력에 대한 궁핍으로 이끈다고 본다. 아동으로서의 가정폭력 피해경험과 의존갈등, 좁은 범주의 대처반응을 포함한 특성은 가정폭력의 피해를 당하는 여성에게도 역시 유사하게 나타난다고 보고 있다.
  • 가족체계론적 이론을 통한 접근으로서의 부부상담은 부부간의 역기능적 패턴을 확인하게 함으로써 가정폭력 체계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다.

(6) 사회문화이론

a. 구조적 이론: 스트레스, 좌절과 박탈과 같은 폭력 유발 요인의 차별적 분폴에 의해 가정 폭력 발생원인을 규명한다. 즉 빈곤계층, 다자녀 가족, 그리고 인구 밀집 지역에서 폭력이 보다 만연된다고 한다,

b. 문화적 이론: 가정폭력이 사회구조 내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고 가족의 사회 경계적 위치에 따라 차별적 분포를 보이는 것은 폭력에 관련된 문화적 규범 및 가치의 기능 때문이라고 보는 관점이다. 즉 박탈감과 스트레스를 강하게 느끼거나 갈등을 해결할 자원이 부족한 가족에서보다는 오히려 사회와 실천이 폭력 문화에 젖어 있거나 하위 문화에 속하는 가족에게서 가정폭력이 보다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것이다.

관련글 더보기